거창 용원정(龍源亭) 쌀다리(돌다리)
용원정(龍源亭)은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 병항마을에 있는 정자로,
구화 오수선생을 기려 후손들이 세웠으며 용원정 앞에는 기백산에서 흘러내리는 용계(龍溪)라는 하천 위에
돌다리가 놓여 있는데 오수 선생의 후손 오성재, 오성화 형제가 백미 천 섬을 들여 만들었다 하여 '쌀다리'라고 불린다.
쌀다리는 옛 돌다리 가운데 하나로 한 개의 중심 다리 받침돌 위에 두 개의 큰 돌을 연결하여 거문고처럼 누운 평교 다리로
용원정 주변 100년 이상 된 벚꽃나무가 쌀다리와 조화를 이루는 곳으로 벚꽃이 만개할 즈음에는
사진작가들의 촬영 명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구석구석에서 발췌>
방문일 : 2025. 4. 9(수)
용원정(龍源亭) 과 쌀다리(돌다리)
길이 11m, 폭 1.25m, 높이 2m 정도
주변의 벚꽃나무가 100년 이상된 고목으로 현재 벚꽃이 만개수준으로
꽃비가 내리면 아주 멋지다는데 오늘은 바람 한점없이 잠잠하네요
쌀다리(돌다리)는 백미 천섬을 들여서 만들었다는
<쌀다리 동영상>
주말에 오면 길게 줄을 서서 기다려야 사진을 찍을수 있을듯한데
두분은 오늘 운이 좋은거요~ㅎ
효열각(孝烈閣)과 용원정(龍源亭)
1758년 돌다리(쌀다리)를 만들었으니 267년 되었네요
용원정(龍源亭) 전경
용원정은 화려한 단청으로 장식된 천정이 특색이 있는 정자이며, 천정 중앙으로는 청룡과 황룡을 조각한
대들보가 가로 놓여 있고, 악기를 연주하며 하강하는 선녀들과 장난스럽게 웃는 모습의 도깨비 등이 그려져 있네요
용원정에서 본 쌀다리
용원정에서 본 효열각(孝烈閣)
쌀다리와 효열각(孝烈閣)
여불데기서 인증샷 한컷 남겨보고
저기가 촬영 포인트 같은데 내려가 봅니다.
촬영 포인트 뒷쪽에서 본 쌀다리
용원정 옆 석축에 둘러싸여 있는 거북이와 그 위 구화오공유적비(九華吳公遺蹟碑)
열효각 앞에서 본 쌀다리
마지막으로 쌀바위에서 한컷 찍고 거창읍 상림리 건계정 벚꽃길로 이동합니다.
거창 건계정(建溪亭) 벚꽃길
건계정(建溪亭)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층건물로 위천(渭川) 유역의 반석 위에 세워진 정자이다.
거창장씨(居昌章氏)들이 그들의 선조 장종행(章宗行)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이 정자와 보은재(報恩齋) 및 사적비를
세우고, 그들 성씨집단이 유래한 곳이라는 중국 건주(建州) 땅의 지명을 따서 건계정이라 이름지었다.
주위의 경치가 좋아 거창읍민들의 휴양처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구석구석>
방문일 : 2025. 4. 9(수)
위천 산성교에서 본 건계정 계곡으로 계곡 좌측이 벚꽃길이고 우측이 주차장, 건계정은 반대쪽에
당겨본 벚꽃길
건계정에 먼저 갔다가 벚꽃길을 걷기로
산성교 건너서 좌측 데크길따라 건계정으로
오늘 거창 온 김에 총 여섯곳을 돌아댕겼는데 걸음수가 24,000보 기록되었더군요.ㅎ
물레방아
건계정은 앞에 보이는 건계정교 뒤에 있습니다.
건계정 (建溪亭)
경치좋은 곳에는 어김없이 정자가 서 있네요
건계정교 벚꽃
대구 침산공원 계단 벚꽃샷을 연상시키네요
다시 산성교를 건너서 벚꽃길로 갑니다.
벚꽃길 진입
돌아본 산성교
벚꽃터널이네요
벚꽃터널이 최소 500m이상은 될듯
귀요미들 벚꽃놀이 나왔네요
벚꽃비가 내립니다. <동영상>
건계정 벚꽃길을 걷고 거창읍 장팔리 덕천서원으로 이동합니다. 도대체 올 봄에 벚꽃을 얼마나 보는겨?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팔공산 벚꽃구경(동화사~수태골) (12) | 2025.04.13 |
---|---|
[거창]덕천서원 & 창포원 (17) | 2025.04.12 |
[거창]병곡리 수양벚꽃 & 임불리 수양벚꽃 (21) | 2025.04.10 |
합천 백리벚꽃길 드라이브 & 합천호 회양관광단지 벚꽃 (26) | 2025.04.07 |
거창 남상면 임불마을 능수벚꽃길(수양벚꽃) 개화소식 (27) | 2025.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