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023년 12월에 포항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4개 코스중 3~4코스를 걸은적이 있는데
오늘은 포항 동해면 도구해수욕장에서 같은면 흥환해수욕장까지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1~2코스를 걷기로 합니다.
참고로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4개 코스는 해파랑길과 겹치기도 하는데
1~2구간은 해파랑길 16코스와 일부가 겹치고, 3~4코스는 해파랑길 15코스와 같습니다.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걷기 중>
포항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1 ~ 2코스
도구해수욕장 - 임곡항 - 청룡회관(호텔 마린) -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 - 입암리 - 선바위 - 마산항 - 흥환해수욕장(도상 약 10km)
도구해수욕장에서 흥환해수욕장까지는 약 10km이나 실제 걸은 거리는 11.6km
2024. 11. 24(일), 날씨 : 맑음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1 ~ 2코스 지도>
<GPS 이동경로>
08:45 포항시 동해면 도구 해수욕장 주차장에 주차하고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1코스 걷기를 시작합니다.
잠깐만...
도구해수욕장에서 임곡항쪽으로 진행해야 되는데 반대쪽으로 데크가 보여 올라가 봅니다.
해병대 상륙훈련장 방향으로 데크가 쭉 연결되어 있네요
시작도 하기전에 꺼꾸로 갑니다. 포항제철도 보이고
당겨본 포철
바닷가로 내려가보는 마눌
<동영상>
다시 데크로 올라와 데크따라 계속 갑니다.
저기 쉼터까지만 갔다가
다시 도구 해수욕장으로 돌아갑니다.
09:18 돌아온 도구 해수욕장
(해병대 상륙훈련장 방향으로 왕복한 거리가 1.4km정도 되네요)
도구 해수욕장 전경
너무 가깝게 접근했다가 밀려온 파도에 자빠진 마눌.ㅎ
<동영상>
2코스 종점 흥환해수욕장까지 해안 둘레길 따라 쭉 진행합니다.
도구해수욕장에서 임곡항으로 갑니다. 멀리 청룡회관(호텔 마린)이 보이고
당겨본 청룡회관(호텔 마린)
청룡회관은 현역 해병대원 및 퇴직 군인들의 복지제공을 위해 해군에서 운영하는 호텔로
일반인들에게도 개방되었는데 현재는 민간에 위탁 호텔 마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아기새 같은데 어디가 불편한지 꼼짝을 않네요 우째야 쓰까...
돌아본 도구해수욕장 방향
임곡1리 진입
갈매기들이 왜이러는겨?
동해면 임곡1리 지나갑니다.
뭘 그리 뚫어져라 쳐다보는겨?
설마 뱅기를 쳐다 보는건 아니것지?ㅎ
주민이 국화를 예쁘게 가꾸어 놓았네요
임곡2리 지나고
임곡항 전경
쪽문을 통해 청룡회관(호텔 마린)으로 들어갑니다.
호텔 마린 전경
이정목이나 지도에는 아직 청룡회관으로 표시되어 있네요
청룡회관(호텔 마린) 뒷쪽으로
뭐야? 뭐하는 곳인데 저기서 낚시를?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이 해파랑길과 겹치기는 하는데 여기에 왠 남파랑길이?
청룡회관(호텔 마린) 뒷길따라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으로 갑니다.
솟대 쉼터
쉼터에서 바닷가로 내려가는 데크가 있어 내려가봅니다.
머라카노? 연오랑이 거북바위를 타고 일본으로 갔다꼬?
바닷가로 내려오면 이런 풍경이고
여기서 한컷 찍고 다시 올라갑니다.
넌 누구니?
오늘 하늘 맑고, 구름 예쁘고, 기온 적당하고, 바람 잔잔하고 트레킹하기엔 딱이네요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에 진입해서 앞에 보이는 일월대(日月臺)에 올라가 봅니다.
일월대에서 잠시 쉬었다
귀비고(貴妃庫)로 올라갑니다.
돌아본 일월대(日月臺)
귀비고(貴妃庫)는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 전시관인데 현재는 휴관중이라 들어갈수가 없네요
귀비고 앞 쌍거북바위
눈이 침침해서 잘 안보이노...
쌍거북바위에서 바라본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 전경
왠 초가집?
이렇게 찍는게 포토존이라는
포토존에서는 찍어주는게 예의.ㅎ
내부전경
여름에 앉아서 놀면 시원하이 좋겠네
등산로가 있다니 그냥 갈 수 없지요
등산로가 아니고 그냥 산책길이네요
쪼매 올라가니 정자하나 있고 뭐 별거없습니다.
다시 등산로에서 내려와 공원을 조금 더 돌아봅니다.
연오랑세오녀(延烏郎細烏女)는 연오(延烏)와 세오(細烏)가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자 일월이 빛을 잃었는데,
세오의 비단으로 제사를 지내자 다시 빛을 회복하게 되었다는 설화(說話)속 인물입니다.
아무튼 공원이 참 깔끔하고 좋네요 방문객들도 많습니다.
귀비고(貴妃庫) 옥상에 올라왔더니 이런게 있어서 한컷 찍습니다.
귀비고 옥상에서 본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 주차장쪽 전경으로 저기 해안따라 계속 진행하게 됩니다.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1코스는 여기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에서 끝이나고
지금부터는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2코스가 시작됩니다.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 주차장에서
해안쪽으로 내려갑니다
하선대 선바위길 쪽으로
잠시 도로따라 걷다
동해면 입암1리쪽으로 내려갑니다.
바람이 별로 불지않는데도 파도가 치는...
파도는 원래 이런가요?
입암항
지금부터는 바다위로 놓인 데크따라 진행하는 길이 많습니다. 좋구로~
계속 밀려오는 파도
파도가 덮치지 않을까 걱정스러운 해안길
<동영상>
방파제 데트라포트에서 낚시중인
입암1리에서 입암2리로 가는 해안길
돌아본 전경으로 저기 파란건물 앞에서 점심먹고 가는중이네요
낚시배
입암2리 통과
방파제에 앉아 파멍중인 여성분
파도를 보니 멍때릴만 하네요<동영상>
바람도 별로 없는데 왠 파도가 이렇게 높아? 희안하네
마산리를 지나면 곧 하선대 선바우길이 나오네요
하선대 선바우길 진입
경북동해안 국가지질공원이라네요(지질장소 힌디기)
선바우
'남근바위' 라는데 닮았나요?
이름없는 바위인데 뭔가 이름을 붙여도 될법한...
파도가 심한날은 이길이 통제되지 싶으네요
지질공원답게 요상하게 생긴 바위들이 많습니다.
폭포바위라는
뭔가를 쳐다보고 있는데 뭘 보시나요?
소원바위?
이렇게 바위마다 명찰이 다 붙어있습니다.
이게 왜 '소원바위'가 되었을까?
'안중근 의사 손바닥바위' 라는
자세히 보면 바위에 손바닥처럼 파인 자국이 보입니다.
여왕바위는 또 머여?
어떻게 봐야 여왕이지?
바다위로 놓은 데크길 이런 길 참 좋습니다.
'눈향나무 자생지'라는
아기발 바위
해상 데크는 계속 이어지고, 데크 왼쪽에 보이는 바위가 하선대?
힌디기? 힌디기가 뭐여?
호미반도는 화산할동으로 발생한 지형으로써 활동 중 화산성분의 백토로 형성이 되어
흰바위가 많아 흰 언덕, 흰덕으로 불렀고 흰덕에서 힌디기로 변화된 것으로 추정한다네요
이어지는 해상 데크
왼쪽에 보이는 바위가 하선대(下仙臺) 같은데 이때는 모르고 그냥 지나쳤네요
하선대(下仙臺)는 동해면 입암리와 마산리 경계지점인 황옥포(黃玉浦)속칭 한미끼에 있는 널찍한 바위섬으로
작은 바위에 선녀가 내려와서 놀았다 하여 '하선대' 또는 '하잇돌'이라고도 한다네요
동해면 마산리 진입
먹바우(검둥바위)
세계 돌탑쌓기 대회가 있으면 우리나라가 우승은 따놓은 당상입니다.^^
먹바우가 신화속 연오랑세오녀를 싣고 간 배가 아닌가 생각해 본다는 내용이네요.ㅎㅎ
반대쪽에서 본 먹바우
여기서 음식을 사 먹을수도 있는
가자미?
마산리 통과중
2코스 종점 흥환리해수욕장까지 약 2km 남았습니다.
마산리항 전경
마산리항 방파제에서 낚시중인 사람들
바다 건너에 보이는 산은 포항 운제산 같고
멸치 말리는중
해안길따라 흥환리해수욕장으로
만 일년만에 바다를 본다고 좋아하는 마눌
돌아본 마산리
돌 던져 올리기 실패 ㅋ
가끔씩 바다를 보면 가슴이 탁 트이고 참 좋은데 매일봐도 좋을까요?
마지막 해안데크길
파도가 데크까지 튀어 깜짝 놀라는.ㅎ
<동영상>
군상바위?
군상들
'신랑각시바위' 라는데...
구멍뚫린바위
전망대에서 종점 흥환리해수욕장이 보입니다.
흥환리해수욕장 도착
저기 노란건물이 화장실이고 그 앞이 공영주차장인데 저기서 걷기를 종료할 예정입니다.
흥환리해수욕장에서 기념샷 한컷 찍고
14:30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1~2코스 걷기를 마칩니다.
여기가 2코스 종점이자 3코스 시작점으로 작년 12월에 3~4코스를 걸은적이 있어
호미반도 해안 둘레길 4개 코스를 완주했습니다.
흥환리 CU편의점 앞
(작년에 3~4코스 걸으러 왔을때는 흥환마트였는데 편의점으로 바뀌었네요)
버스정류장에서 동해 마을버스를 타고 동해면에 있는 도구해수욕장으로 돌아갑니다. (약 20분 정도 소요)
15:08 동해면행정복지센터 앞 버스정류장에 내려
도구해수욕장까지 500여미터 걸어와 차량을 회수해서 15:20경 포항 환호공원 스페이스 워크로 이동합니다.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금정산(아기자기능선~동제봉~의상봉~원효봉~준행암장 돌고래바위) (32) | 2024.12.02 |
---|---|
[대구]첫눈 오는날 팔공산에서 (31) | 2024.11.29 |
[구미]금오산 단풍산행 (24) | 2024.11.21 |
김천 1일 3산 산행(가제봉, 월출산-천상봉, 형제봉-석항산) (22) | 2024.11.20 |
[서울]불암산(佛巖山) 일출 산행 (21) | 2024.11.11 |
댓글